티스토리 뷰
투수를 평가하는 기록 중에 가장 유명한 지표는 평균자책점입니다. 대학 학점을 에이스 투수의 평균자책점이라고 표현하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로 평균자책점은 자주 회자됩니다.
하지만 정작 어떤 투수의 평균자책점을 계산해보려고 하면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엔 평균자책점 계산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평균자책점(Earned Run Average, ERA)은 투수의 9 이닝당의 자책점을 나타냅니다. 1경기를 9이닝으로 가정했을 때 1경기에서 얼마나 점수를 내줄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다음 식으로 계산식을 보면서 얘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평균자책점 = (9 × 자책점) / 투구이닝
위의 식에서 알 수 있듯이 평균자책점을 구하려면 실점과 자책점의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야구 중계를 보다보면 평균자책점이 1점대였던 에이스 투수가 6회에 강판될 때 스코어가 5대 0 인데도 평균자책점이 크게 오르지 않는 경우를 볼 수가 있었을 겁니다. 이경우 실점은 5점이었지만 자책점은 1점이었기 때문에 그 투수의 평균자책점은 크게 오르지 않았다는 기사도 같이 나오곤 합니다.
자책점은 전체 실점에서 야수들의 실책이나 포수의 포일로 인해 내준 점수를 제외한 점수를 말합니다.
2아웃인 상태에서 실책이 일어났을 때는 그 실책 이후의 모든 점수는 자책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실책 후에 올라오는 후속 타자들에게 계속 얻어맞아 10점을 주든 잘 막아서 0점으로 막든 자책점은 똑같습니다. 실책이 없었다는 가정 하에 해당 이닝은 이미 종료되었으므로 투수의 책임이 아닌 것으로 기록합니다.
그 외의 상황은 좀 복잡한 계산을 해줘야 합니다. 노아웃이나 1아웃 상황에서 선행 주자가 실책이나 포일로 인해 추가로 진루하는 경우에는 그 이닝에서 실책이나 포일이 없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자책점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사 2루 상황 타자 B의 타석에서 투수가 공을 제대로 던졌는데 포수가 놓쳐 2루 주자 A가 3루로 가는 바람에 포일이 기록되었고, 그 타석에서 타자 B가 외야로 희생플라이를 쳐서 주자 A가 홈인했다면 그로 인한 실점은 일단 비자책점인 상황입니다.
그리고 다음 타자 C가 삼진이나 땅볼, 뜬공 등으로 바로 아웃되었다면 주자 A로 인한 실점은 그대로 비자책점이 확정되지만 타자 C가 안타를 쳤다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이 경우 그 타구가 홈런이라거나 2루타 이상의 장타였다면 문제의 주자 A는 포일이 없었어도 홈으로 들어올 수 있었을 것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자책점이 됩니다.
단타를 쳤더라도 2루에 있었을 때를 가정하고 주자 A가 홈으로 들어올 수 있는 타구라고 판단이 되면 자책점이 되고 홈에 들어오기에는 부족할 정도로 너무 짧은 안타였다고 판단된다면 자책점으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해당 이닝 도중 주자를 남겨 놓고 투수가 바뀌는 경우에는 남겨 놓은 주자에 의한 실점은 앞선 투수의 책임으로 기록됩니다. 이 때문에 이닝 중간에 올라오는 일이 많은 원-포인트 릴리프는 그 투수의 기량을 평균자책점으로만 평가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투구이닝은 전체 투구이닝을 의미하고 당연히 분수 부분(1/3, 2/3)도 포함해서 계산합니다. 보통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만 계산해서 나타내는데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기록이 같은 투수가 있을 때는 그 아래 자릿수까지 비교해서 순위를 매깁니다.
타이틀홀더 결정 시 평균자책점은 승리, 탈삼진과 다르게 규정이닝이 전제조건입니다. 반드시 규정이닝을 채워야만 시상 대상이 됩니다. 타자들의 타율 계산 시 규정타석을 적용하는 것도 동일한 이유로 적용을 하며 규정이닝은 대체로 팀의 경기 수 × 1이닝으로 계산합니다. KBO 리그 2022시즌은 팀 당 총 144경기를 치뤄야하기 때문에 한 시즌 기준 규정이닝은 144이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야구 > 야구 규정,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 출루율, 장타율, OPS란 무엇일까? (2) | 2022.07.11 |
---|---|
야구 희생플라이(Sacrifice fly)는 타율에 영향을 미칠까? (0) | 2022.06.23 |
야구 야수선택이란 무엇일까? (0) | 2022.06.20 |
야구 규정타석이란 무엇일까? (0) | 2022.06.19 |
야구의 타석, 타수, 타율 계산하는 법 (0) | 2022.06.18 |
야구(Baseball) 포지션 소개와 고유번호, 약자 정리 (0) | 2022.06.18 |
태그아웃(Tag Out)과 포스아웃(Force Out)의 차이 (0) | 2022.06.12 |